얼마전 GTX D의 노선이 발표되었습니다.
인천이 주장하던 Y자 분기 노선이 기각되고, 장기역으로 향하는 일자 노선으로 확정되었는데요.
GTX D노선 확정을 기념(?)해서 GTX 노선도를 정리해봅시다
서울역과 삼성역 등을 지나는 GTX A입니다.
일산과 동탄 지역의 서울 접근성이 크게 높아지겠네요.
GTX 중 유일하게 개통일정이 확정 된 노선으로, 2023년 12월 개통 예정이며 삼성역과 창릉역은 2026년 개통 예정입니다.
인천과 경기도동부를 잇은 GTX B입니다.
23년 하반기에 착공해서 28년에 개통하는 게 목표입니다. 물론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경기북부에서 수원을 잇는 GTX C입니다.
GTX A가 동탄까지 가는데 GTX C는 그 옆의 수원까지 가네요. 오!
인덕원 역이 아직 확정이 아닌데 가능성이 높은 듯 합니다. 이에따라 최근 인덕원역 주변 집값이 폭등한게 화제가 되기도 했었죠.
22년 하반기 착공해서 27년 하반기 개통하는게 목표라고 합니다.
불과 저번주에 노선이 발표된 GTX D입니다.
인천의 Y자 분기안과 경기도의 일자안이 논쟁되다가 결국 경기도의 안으로 된 것 같네요.
사실상 장기~부천 종합운동장까지만 신설이고 부천 종합운동장~용산은 GTX B와 노선을 공유한다고 합니다. 다만, 환승 없이 이용할 수 있게 만들어 편의성을 높인다고 하네요.
이제막 노선만 정해졌고 착공 및 개통일정은 확실한 소식이 없는 듯 합니다.
종합해보면 이런 모양이 나옵니다.
청량리-삼성-서울역 삼각 환승 센터에다가 부천도 B,D 환승센터를 마련했습니다.
얼른 개통돼서 교통편의성을 높여줬으면 합니다.
한편, GTX 노선도에 따른 부동산 호재도 면밀히 살펴봐야겠죠?
어디가 오르고 주목받을지, 미리미리 잘 고민해봐야 겠습니다.
양도세 계산기, 세율 및 비과세 조건까지 총정리 (0) | 2021.07.28 |
---|---|
서울 아파트 시장 돌아보기 -6월- (0) | 2021.07.23 |
보금자리론 40년? 보금자리론 7월 이후 자세히 정리! (0) | 2021.07.02 |
종부세 계산기, 종부세 계산방법 자세히 정리 (0) | 2021.06.29 |
부동산 경매 권리분석 방법. 5분만에 알아보는 기초 (0) | 2021.06.26 |
댓글 영역